을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8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84개 세 글자:253개 네 글자:390개 다섯 글자:313개 여섯 글자 이상:868개 모든 글자:1,909개

  • : (1)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 상하(上下)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 : (1)‘모습’의 방언
  • : (1)일이나 물건 따위가 어디에 꼭 맞는 것. (2)꼭 맞게. (3)열에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예외가 없음. (4)대품반야경에서 말하는 열 가지 관상(觀想). 무상상(無常想), 고상(苦想), 무아상(無我想), 식부정상(食不淨想), 세간불가락상(世間不可樂想), 사상(死想), 부정상(不淨想), 단상(斷想), 이욕상(離欲想), 진상(盡想)이다. (5)열 번의 서리라는 뜻으로, 십 년의 세월을 이르는 말.
  • : (1)‘간섭’의 방언
  • : (1)일반적으로 12ㆍ13세에서부터 19세까지의 나이에 해당하는 사람.
  • : (1)ㄱ자집의 구석 처마에 대는 서까래. (2)폿집 어귀의 평방 위에 대는 세모 널. (3)‘보습’의 방언 (4)정부 기관의 행정 정보 시스템 또는 행정 정보 통신망에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 제품을 조달하기 위한 규격을 작성할 때, 컴퓨터 시스템 상호 간의 접속 규격과 사양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규약.
  • : (1)선(禪)을 수행하여 자기의 본심(本心)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순서를 열 단계로 나타낸 것. 본심을 소에 비유하여, 소를 찾는 심우(尋牛), 소의 발자국을 발견하는 견적(見迹), 소를 발견하는 견우(見牛), 소를 얻는 득우(得牛), 소를 기르고 길들이는 목우(牧牛),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잊어버리고 사람만 남는 망우존인(忘牛存人), 소나 자기나 다 잊어버리는 인우구망(人牛俱忘), 본래의 맑고 깨끗한 근원으로 돌아가는 반본환원(返本還源), 세속으로 들어가 중생들을 제도하는 입전수수(入廛垂手)의 열 단계로 설명한다. (2)열흘에 한 번 오는 비라는 뜻으로, 알맞게 때를 맞추어 내리는 비를 이르는 말.
  • : (1)십의 세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서른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서른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조선 태조 4년(1395)에 정도전의 제의에 따라 십위(十衛)를 개편한 군대 편제. 중군, 좌군, 우군에 속하게 하였는데 태종 18년(1418)에 십이사로 개편하였다. (2)합쇼할 자리에 쓰여, 정중한 부탁이나 청원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인용절에 쓴다.
  • : (1)십의 두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스물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스무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복습’의 방언
  • : (1)신문, 잡지 등에서 개인의 사생활에 대하여 소문이나 험담 따위를 흥미 본위로 다룬 기사.
  • : (1)서운관이나 관상감에서 햇빛이 변하는 상태를 관측하던 열 가지 방법. 침(祲), 상(象), 휴(鑴), 감(監), 암(闇), 맹(瞢), 미(彌), 서(叙), 제(隮), 상(想)을 이른다.
  • : (1)십의 다섯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쉰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오십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모두 갖추어져서 결점이 없음. (2)조금도 위험이 없음.
  • : (1)‘연습’의 방언
  • : (1)십의 여덟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여든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여든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십의 여러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 : (1)‘육십’의 방언
  • : (1)‘습관’의 방언
  • : (1)‘천간’을 달리 이르는 말. 포괄하는 수가 모두 열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2)‘습관’의 방언
  • : (1)신라 때에, 지방에 비치한 열 군대. 음리화정(音里火停),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거사물정(居斯勿停), 삼량화정(參良火停), 소삼정(召參停),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남천정(南川停), 골내근정(骨乃斤停), 벌력천정(伐力川停), 이화혜정(伊火兮停)을 이른다.
  • : (1)공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열 사람. 안회(顔回), 민자건(閔子騫), 염백우(冉伯牛), 염옹(冉雍), 재아(宰我), 자공(子貢), 염구(冉求), 자로(子路), 자유(子游), 자하(子夏)를 이른다.
  • : (1)보살이 수행하는 오십이위(五十二位) 단계 가운데 제11위에서 제20위까지의 단계.
  • : (1)어떤 분야에 능력이 뛰어난 열 사람의 인물.
  • : (1)십의 일곱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일흔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일흔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구슬 같은 문장이라는 뜻으로, 남의 글을 높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경습’이다.
  • : (1)정토종에서, 음력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열흘 동안 밤낮으로 행하는 특별 염불.
  • : (1)‘담력’의 방언 (2)십의 몇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 : (1)유교에서, 사람이 본분에 따라 지켜야 할 열 가지 도리. 아버지의 자(慈), 아들의 효(孝), 형의 양(良), 아우의 제(弟), 남편의 의(義), 아내의 청(聽), 어른의 혜(惠), 아이의 순(順), 임금의 인(仁), 신하의 충(忠)을 이른다. ≪예기≫에서 나온 말이다.
  •  : (1)‘이십’의 옛말.
  • : (1)매월 팔계(八戒)를 지켜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하도록 정해진 열흘. 이날에는 여러 천왕(天王)이 온 천하를 돌아다니며 관찰하므로, 그날에 배정된 부처와 보살의 이름을 집중하여 생각하면 죄를 덜고 복을 받는다고 한다.
  • : (1)미국에서 발행된 주식 증서와 등록 채권을 증명할 수 있는 표준 방식을 확립한 15인 위원회.
  • : (1)모든 사물 현상에는 실체가 없으며 모두 허망한 존재라는 것을 보여 주는 열 가지 비유. 환(幻), 염(焰), 수중월(水中月), 허공화(虛空華), 향(響), 건달바성(乾闥婆城), 몽(夢), 영(影), 경중상(鏡中像), 화(化)이다.
  • : (1)쟁기, 극젱이, 가래 따위 농기구의 술바닥에 끼우는, 넓적한 삽 모양의 쇳조각. 농기구에 따라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규범 표기는 ‘보습’이다. (2)‘보습’의 옛말.
  • : (1)‘눈썹’의 방언
  • : (1)사람이 받게 되는 열 가지 고통. 이에는 생(生)ㆍ노(老)ㆍ병(病)ㆍ사(死)ㆍ수(愁)ㆍ원(怨)ㆍ고수(苦受)ㆍ우(憂)ㆍ통뇌(痛惱)ㆍ생사유전고(生死流轉苦)가 있다.
  • : (1)정토교에서, 법장보살이 수행을 완성하여 아미타불이 된 이후 지금까지의 시간을 이르는 말.
  • : (1)보살이 수행하는 오십이위(五十二位) 단계 가운데 제41위에서 제50위까지의 단계. 환희지(歡喜地), 이구지(離垢地), 명지(明地), 염지(焰地), 난승지(難勝地), 현전지(現前地), 원행지(遠行地), 부동지(不動地), 선혜지(善慧地), 법운지(法雲地)이다. 부처의 지혜를 생성하고 온갖 중생을 교화하여 이롭게 하는 단계이다. (2)열 손가락.
  • : (1)만의 열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열째 달. ⇒규범 표기는 ‘시월’이다.
  • : (1)‘십상’의 방언
  • : (1)서방 정토에 왕생하기를 발원하는 염불자의 열 가지 즐거움. 성중래영락(聖衆來迎樂), 연화초개락(蓮華初開樂), 신상신통락(身相神通樂), 오묘경계락(五妙境界樂), 쾌락무퇴락(快樂無退樂), 인섭결연락(引攝結緣樂), 성중구회락(聖衆俱會樂), 견불문법락(見佛聞法樂), 수심공양락(隨心供養樂), 증진불도락(增進佛道樂)이다.
  • : (1)신라 때에, 지방에 비치한 열 군대. 음리화정(音里火停),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거사물정(居斯勿停), 삼량화정(參良火停), 소삼정(召參停),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남천정(南川停), 골내근정(骨乃斤停), 벌력천정(伐力川停), 이화혜정(伊火兮停)을 이른다.
  • : (1)십악(十惡)을 행하지 않음. 불살생(不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淫), 불망어(不妄語), 불기어(不綺語), 불악구(不惡口), 불양설(不兩舌), 불탐욕(不貪慾), 불진에(不瞋恚), 불사견(不邪見)을 지킴을 이른다. (2)전세(前世)에서 십악을 행하지 않은 과보(果報)로 현세에 받는다는 천자(天子)의 지위.
  • : (1)부처만이 지니고 있는 열 가지 지혜의 힘. 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 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편취행지력(遍趣行智力),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사생지력(死生智力), 누진지력(漏盡智力)이다. (2)보살이 지니고 있는 열 가지 지혜의 힘. 직심력, 심심력, 증상심심력, 방편력, 지력, 원력(願力), 행력(行力), 신변력, 보리력, 전법륜력이다.
  • : (1)열 겹이나 싼다는 뜻으로, 소중히 간직함을 이르는 말.
  • : (1)십의 여섯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예순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예순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보살이 수행하는 오십이위(五十二位) 단계 가운데 제21위에서 제30위까지의 단계. 십주(十住)의 단계에서 진리를 확실하게 이해한 뒤, 더 나아가 이타행(利他行)을 완수하고자 중생 교화의 실천을 위하여 정진하는 단계이다.
  • : (1)조선 태종 6년(1406)에 하륜의 주청에 따라 만든 열 가지 관리 임용 시험 과목. 유학(儒學), 자학(字學), 무학(武學), 이학(理學), 역학(易學), 음양풍수학(陰陽風水學), 의학(醫學), 율학(律學), 산학(算學), 악학(樂學)이다.
  • : (1)‘일습’의 방언
  • : (1)황금의 품질을 10등급으로 나누었을 때의 가장 높은 등급. (2)신라 때에, 이름난 열 사람의 승려. 아도, 이차돈, 혜숙(惠宿), 안함, 의상, 표훈, 원효, 혜공, 자장, 사파(蛇巴)를 이르며 이들 모두의 화상(畫像)이 경주 황룡사 금당(金堂)의 벽에 그려져 있었다 한다.
  • : (1)여러 방면. (2)사방(四方), 사우(四隅), 상하(上下)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육십’의 방언 (2)‘육십’의 방언
  • : (1)같은 오대조(五代祖)의 자손들 간의 촌수. 또는 그 친척.
  • : (1)일꾼들을 감독ㆍ지시하는 우두머리. (2)병졸 열 사람의 우두머리.
  • : (1)‘버섯’의 방언 (2)‘보습’의 방언
  • : (1)열 가지의 어머니. 친모(親母), 출모(出母), 가모(嫁母), 서모(庶母), 적모(嫡母), 계모(繼母), 자모(慈母), 양모(養母), 유모(乳母), 제모(諸母)를 이른다. (2)‘십간’을 달리 이르는 말.
  • : (1)십의 네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마흔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마흔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쓰다’의 방언 (2)‘쉽다’의 방언 (3)‘씹다’의 옛말. (4)‘시다’의 방언
  • : (1)나무아미타불을 열 번 부름. (2)불(佛)ㆍ법(法)ㆍ승(僧)ㆍ계(戒)ㆍ시(施)ㆍ천(天)ㆍ휴식(休息)ㆍ안반(安般)ㆍ신(身)ㆍ사(死)의 열 가지에 마음을 집중하여 생각함. (3)부처와 보살 열 분의 이름을 생각하며 욈.
  • : (1)화엄종을 일으킨 현수(賢首)가 불교의 여러 가지 교설에 나타나 있는 원리적 주장을 열 가지로 나눈 것. 아법구유종(我法俱有宗), 법유아무종(法有我無宗), 법무거래종(法無去來宗), 현통가실종(現通假實宗), 속망진실종(俗妄眞實宗), 제법단명종(諸法但名宗), 일체개공종(一切皆空宗), 진덕불공종(眞德不空宗), 상상구절종(相想俱絕宗), 원명구덕종(圓明具德宗)이다. 보통 오교(五敎)를 더하여 ‘오교십종’이라고 한다.
  • : (1)열 가지 악한 행위.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이다. (2)조선 시대에, 대명률(大明律)에 정한 열 가지 큰 죄. 모반죄(謀反罪), 모대역죄(謀大逆罪), 모반죄(謀叛罪), 악역죄(惡逆罪), 부도죄(不道罪), 대불경죄(大不敬罪), 불효죄(不孝罪), 불목죄(不睦罪), 불의죄(不義罪), 내란죄(內亂罪)를 이른다.
  • : (1)보살이 수행하는 오십이위(五十二位)의 단계 가운데 제1위에서 제10위까지의 단계. 신심, 염심, 정진심, 혜심, 정심, 불퇴심, 호법심, 회향심, 계심, 원심이다. 부처의 가르침을 믿어 의심하지 않는 단계이다. (2)문루(門樓)나 전각의 지붕 네 귀퉁이에 꾸며 앉히는, 열 가지의 잡상. 대당사부(大唐師傅), 손행자(孫行者), 저팔계(猪八戒), 사화상(沙和尙), 마화상(麻和尙), 삼살보살(三殺菩薩), 이구룡(二口龍), 천산갑(穿山甲), 이귀박(二鬼朴), 나토두(裸土頭)를 이른다.
  • : (1)‘삼십’의 방언 (2)‘삼십’의 방언
  • : (1)아주 충분히.
  • : (1)‘습기’의 방언
  • : (1)유가(儒家)의 열 가지 경서. ≪주역≫, ≪상서≫, ≪모시≫, ≪예기≫, ≪주례≫, ≪의례≫, ≪춘추좌씨전≫, ≪공양전≫, ≪곡량전≫에 ≪논어≫ 또는 ≪효경≫을 합친 것을 이르는 말이다.
  • : (1)고려 성종 14년(995)에, 전국을 열로 나누어 둔 행정 구역. 강남도, 관내도, 삭방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중원도, 패서도, 하남도, 해양도를 이르는데 절도사가 다스렸다.
  • : (1)‘섭육십’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육십’이다. (2)‘육십’의 북한어. (3)‘육십’의 북한어.
  • : (1)‘건건이’의 방언 (2)‘거섶’의 방언
  • : (1)‘담불’의 방언
  • : (1)시가(詩歌)나 시가의 편장(篇章)을 이르는 말.
  • : (1)십의 아홉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아흔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아흔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4)‘구습’의 방언
  • : (1)한자 부수의 하나. ‘千’, ‘南’ 따위에서 쓰인 ‘十’을 이른다.
  • : (1)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진광왕, 초강대왕, 송제대왕, 오관대왕, 염라대왕, 변성대왕, 태산대왕, 평등왕, 도시대왕, 오도 전륜대왕이다. 죽은 날부터 49일까지는 7일마다, 그 뒤에는 백일ㆍ소상(小祥)ㆍ대상(大祥) 때에 차례로 이들에 의하여 심판을 받는다고 한다.
  • : (1)‘보습’의 방언
  • : (1)조선 태조 원년(1392)에 둔 군대의 편제.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에 속한 좌위(左衛), 우위(右衛), 응양위(應揚衛), 금오위(金吾衛), 좌우위(左右衛), 신호위(神虎衛), 흥위위(興威衛), 비순위(備巡衛), 천우위(天牛衛), 감문위(監門衛)가 있는데 태조 4년(1395)에 십사(十司)로 개편하였다.
  • : (1)사미와 사미니가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 오계(五戒) 외에, 꽃다발을 쓰거나 향을 바르지 말 것, 노래하고 춤추고 풍류를 즐기지 말 것, 높고 큰 평상에 앉지 말 것, 제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 재물을 모으지 말 것이다. (2)십선(十善)을 지키도록 한 계율. (3)대승 불교에서, 보살이 범해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열 가지 계율. 살생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음행(婬行)하지 말 것, 거짓말을 하지 말 것, 술을 사거나 팔지 말 것, 사부중(四部衆)의 허물을 말하지 말 것, 나를 칭찬하거나 남을 비방하지 말 것, 재물이나 가르침을 베푸는 일에 인색하지 말 것, 성내는 마음으로 상대가 참회하는 것을 거절하지 말 것, 삼보(三寶)를 비방하지 말 것이다. (4)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나누는 10가지 경지. 미계(迷界)의 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와 오계(悟界)의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이다. (5)하나님이 시나이산에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렸다고 하는 열 가지 계율. 다른 신을 섬기지 말 것, 우상을 섬기지 말 것,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하지 말 것, 안식일을 지킬 것, 어버이를 공경할 것, 살인하지 말 것, 간음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이웃의 재물을 탐내지 말 것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근본 계율이다.
  • : (1)한자의 열 가지 서체. 고문(古文), 대전(大篆), 주문(籒文), 소전(小篆), 팔분(八分), 예서(隸書), 장초(章草), 행서(行書), 비백(飛白), 초서(草書)를 이른다.
  • : (1)중국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뒤부터 송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흥망한 왕조. 또는 그 시대. 중원(中原)을 중심으로 후량(後梁),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의 다섯 왕조와 중원 이외 지방의 전촉(前蜀), 오(吳), 남한(南漢), 형남(荊南), 오월(吳越), 초(楚), 민(閩), 남당(南唐), 후촉(後蜀), 북한(北漢)의 열 나라를 이른다.
  • : (1)중무장된 지상 공격용 항공기. 수송기나 기동 헬기에 기관포, 로켓 따위의 중화기(重火器)를 장착한 것이다.
  • : (1)‘국제 통화 기금’의 ‘일반 차입 협정’에 참여한 미국ㆍ영국ㆍ프랑스ㆍ독일ㆍ일본ㆍ이탈리아ㆍ캐나다ㆍ네덜란드ㆍ벨기에ㆍ스웨덴 10개국의 재무 장관으로 구성된, 국제 경제ㆍ금융 문제를 다루는 회의. 1984년 스위스가 참가하여 현재 11개국이다.
  • : (1)‘十’ 자와 같은 모양. (2)기독교도를 상징하는 ‘十’ 자 모양의 표. 예수가 모든 사람의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데서 유래하였으며, 존경ㆍ명예ㆍ희생ㆍ속죄의 표상으로 쓰인다. (3)거문고를 연주하는 사람으로서 흠이 되는 열 가지.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십으로 시작하는 단어 (724개) : 십, 십가장, 십각기둥, 십각목, 십각뿔, 십각뿔대, 십각뿔의 절두체, 십각형, 십간, 십간십이지, 십 개국 군축 위원회, 십 개국 재무 장관 회의, 십걸, 십겁, 십경, 십계, 십계 대만다라, 십계도, 십계명, 십고, 십고십상, 십고일장, 십관, 십구각형, 십구공신회맹록, 십구공탄, 십구금, 십구금용, 십구사, 십구사략언해 ...
십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724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십을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8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